김정호 2021. 8. 17. 02:35

 

배열(array)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서 통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

변수가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면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기 위한 것

배열의 생성

여러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담아서 관리하는 방법

대괄호([])는 배열을 만드는 기호다.
대괄호로 시작해서 대괄호로 끝나야 한다.
위의 3개의 데이터 각각을 원소(Element)이라고 부른다.

데이터를 꺼내오는 방법

예시

결과
egoing
k8805
sorialgi

배열에 담겨있는 값을 가져올 때는 대괄호 안에 숫자를 넣는다.
숫자를 색인(index)라고 부르고 0부터 시작한다.
첫번째는 0, 두번째는 1, 세번째는 2를 입력한다.

배열이 없다면?

예시

하나의 함수는 하나의 값만을 반환할 수 있다.

배열을 이용한 방법

예시

return하는 결과가 배열 하나의 값을 리턴하는 것이지만 배열 안에 여러 값들이 있음.

배열의 사용

반복문과 결합해서 사용하기

예시

결과
egoing
k8805
sorialgi

.toUpperCase():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해줌

.length를 사용하면 안에 담겨있는 원소가 몇개인지 우리에게 알려주는 명령

leezche는 출력되지 않는다. i의 값이 0 ~ 2 총 3번 실행되는 반복문으로 고정되어 있기때문이다.

배열 추가

push는 인자로 전달된 값을 배열(li)에 추가하는 명령이다.

concat은 인자로 전달된 값을 추가하는 명령이다.

unshift는 인자로 전달한 값을 배열의 첫번째 원소로 추가하고
배열의 기존 값들의 색인을 1씩 증가시킨다.

splice는 첫번째 인자에 해당하는 원소부터 두번째 인자에 해당하는 원소의 숫자만큼의 값을
배열로부터 제거한 후에 리턴한다. 그리고 세번째 인자부터 전달된 인자들을 첫번째 인자의 원소 뒤에 추가한다.

shift 사용예시

배열의 첫번째 원소를 제거

결과 : b, c, d, e

pop 사용예시

배열 끝점의 원소를 배열 li에서 제거

결과 : a, b, c, d

sort 사용예시

정렬을 하는 방법

결과 : a, b, c, d, e

reverse 사용예시

역순으로 정렬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