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수
프로그램 수행 시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
01. 메모리에 저장공간 확보
02. 방법에 따라 크기와 용도가 다르게 생성
03. 유일한 이름(identifier) 부여
04. 메모리에 대한 심볼릭 표현
변수 선언
01. 변수는 사용 전 반드시 먼저 선언해야 함
02. 필요 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도 가능함
03. 변수선언문 기본 형식 : 데이터타입 변수명; , 데이터타입 변수명1, 변수명2, ⸱⸱⸱⸱⸱ ;
04. 변수명은 식별자 생성 규칙을 적용함

식별자
변수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이름
식별자 규칙
01. 식별자는 반드시 영문자, 숫자, 밑줄 기호(_)만을 사용해야 함
02. 식별자의 첫 글자는 반드시 영문자 또는 밑줄 기호(_)로 시작해야 함
03. 식별자에는 밑줄 기호(_)를 제외한 다른 기호를 사용할 수 없음
04. 식별자는 대소문자를 구분해서 만들어야 함
ex)name, Name, NAME은 모두 다른 이름으로 간주됨 05.C 언어의 예약어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음
식별자는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 됨
변수 활용
⸱ 초기화는 =(대입연산자)를 이용함
변수명 = 값; |
상수(Constant>
⸱ 변하지 않는 자료값
⸱ 보관되는 값에 따라 의마가 변하는 것이 변수
리터럴 상수(Literal Constant) :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심볼릭 상수(Symbolic Constant) : const 상수, 매크로 상수, 열거형 상수
매크로 상수 : #define문으로 정의되는 상수


데이터타입
개요
⸱ C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모든 변수나 상수 값은 정해진 데이터형을 가짐
데이터형에 의해서 주어진 값의 이진 표현이 결정됨
기본 데이터형(Primitive Data Type) : 문자형 ,정수형 , 실수형
파생 데이터형(Derived Data Type) : 배열, 포인터
사용자 정의형(User-defind Data Type) : 구조체, 공용체, 열거체

★핵심요약★
변수와 상수
- 변수는 프로그램 수행 시 필요한 자료 값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함
- 변수는 사용 전 반드시 선언을 먼저 해야 함
- 식별자는 영문 대소문자, 숫자, 밑줄 기호(_)를 이용하여 만듦
- 식별자 생성 시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음
- 상수란 의미가 변하지 않는 자료 값을 의미함
데이터타입
- 저장할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타입이 있음
- 문자형 데이터타입으로 char이 있음
- 정수형 데이터타입으로 short, int, long, long long이 있음
- 실수형 데이터타입으로 float, double, long double이 있음
- 변수값을 출력 시 형식 지정자를 사용하여 출력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