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기반 스마트웹 개발2021 (43) 썸네일형 리스트형 함수와 인자 매개변수 개념 이해 함수에 전달하는 값[매개변수(Parameter), 인자(Argument)] 형식매개변수와 실매개변수 형식매개변수(Formal Parameter) : 함수 저으이에서 기술되는 매개변수 목록 실매개변수(Real Parameter) : 함수 호출에서 기술되는 값, 인자(Argument) 호출방식 Call bu Reference(참조에 의한 호출) 호출된 함수에서 값을 호출한 곳으로 리턴의 용도로 사용 가능 배열 전달 01. 배열은 포인터 전달 방법을 이용 02. 함수의 매개변수는 배열의 원소에 대한 포인터형으로 선언 구조체 전달 구조체 전달 시 포인터 전달의 장점 : 주소 보관을 위한 4바이트만 사용함 ★핵심요약★ 매개변수 형식매개변수란 함수의 원형에 기술되는 매개변수 리스트를 말함 실매개.. 공용체와 열거체 공용체 공용체 활용 공용체 : 동일한 저장 장소에 여러 데이터 타입을 저장하는 자료구조 01. 멤버들이 메모리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기법 02. 공용체의 크기는 공용체의 멤버 중 가장 크기가 큰 멤버에 의해 결정 구조체와 공용체 비교 구조체 공용체 비트필드 구조체가 가진 멤버를 비트 단위로 사용 비트필드 정의 메모리에 할당할 때, 첫 번째 멤버를 최하위 비트에서부터 할당 비트필드의 멤버에 표현 가능한 범위 밖의 값을 저장하면 오버플로우가 발생 비트필드를 정의할 때는 중간에 일부 비트를 비워두고 멤버를 특정 비트에 할당할 수 있음 리틀 엔디안과 빅 엔디안 리틀 엔디안 : 최하위 바이트부터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 : ex) 인텔 계열의 CPU 빅 엔디안 : 최상위 바이트부터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 : 모토로라.. 구조체 구조체 이해 구조체란? 사용자 정의 데이터 타입 관련 있는 데이터를 묶어서 처리할 수 있는 자료구조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의 묶음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을 묶어서 처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정의하는 데이터 타입 구조체 정의방법 01. 구조체의 멤버로 일반 변수뿐만 아니라 배열이나 포인터 선언가능 02. 구조체를 정의하면 새로운 데이터형이 만들어짐 03. 구조체 정의 → 메모리 할당의 의미는 아님 04. 구조체형 변수 선언 → 메모리에 할당 05. 구조체의 크기는 모든 멤버들의 크기의 합보다 크거나 같음 06. 구조체 멤버 중 가장 큰 멤버의 크기를 기준으로 멤버 할당(Padding) 07. 구조체의 크기를 구하려면 sizeof 연산자를 이용함 구조체 선언 구조체 변수를 선언하면 구조체 변수가 가진 멤버들.. 포인터 배열 포인터 배열 2차원 배열과 포인터 str[3][10] str = str[0] = &str[0][0] 문자형 포인터 문자열 상수를 문자형 포인터 변수에 저장 배열 포인터 개요 배열 포인터는 이차원 배열의 전체를 가리키는 용도로 사용 형식 : 데이터형 (*포인터명)[배열 크기]; 배열 포인터 개요 int (*p) [5]; -> 크기가 5인 int 배열을 가리키는 포인터 배열 포인터 p로 2차원 배열처럼 참조 가능 배열 포인터를 이차원 배열에 접근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 2차원 배열에 대한 배열 포인터는 열 크기에 따른 변수 선언이 필요 배열 포인터의 증감 연산은 열 크기만큼 이동 여러 개의 문자열을 하나로 묶어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2차원 문자 배열을 이용 여러 개의 문자열을 하나로 묶어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문.. 포인터 활용 포인터와 배열 포인터로 배열 참조 배열명 : 배열의 시작 주소를 의미하는 상수 배열의 시작 주소를 구할 때는 & 없이 배열명만 사용 배열명을 포인터처럼 사용가능 인덱스를 사용하는 대신 배열의 시작 주소로 포인터 연산을 하면 배열의 특정 원소에 접근 가능 *(arr+i)는 arr[i]를 의미 배열의 시작 주소로 초기화된 포인터를 이용해서 배열의 모든 원소에 접근 가능 포인터 변수를 배열 이름인 것처럼 사용 가능 포인터와 +, - 연산 포인터와 배열 원소 배열의 원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는 배열의 어떤 원소든지 가리킬 수 있음 포인터가 배열의 원소가 아닌 일반 변수를 가리킬 때도 *(p+i) == p[i]는 항상 성립함 배열과 포인터의 차이점 배열이 메모리에 할당되고 나면, 배열의 시작 주소 변경 불가 포인터 .. 포인터 기초 포인터 기초 포인터 개념 포인터 :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주소 정보 포인터 변수 : 포인터(주소)를 저장하는 변수 포인터 변수의 크기(주소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4바이트이지만 시스템에 따라 다름 포인터 변수 : 포인터 변수의 역할은 다른 변수를 가리키는 변수 사진 포인터 변수의 데이터 타입은 포인팅하는 변수의 데이터 타입과 동일한 타입으로 선언 데이터 타입 * 포인터 변수명 char* a; int *b sizeof() 연산자 int sizeof(int) : 매개변수에 기술한 공간의 크기를 정수값으로 반환함 포인터 초기화 & : 주소 구하기 연산자 &데이터 변수 : 변수의 주소를 의미 *포인터 변수 : 포인터 변수가 가리키는 주소의 값 이중 포인터 포인터 변수의 주소를 저장하는 포인터 변수 이중 포인터가 .. 문자열 문자열 문자열 : 연속된 문자들의 모임 01. 문자열은 큰 따옴표("")로 표현함 02. 문자열의 끝에는 널 문자('/0')를 함께 저장함 문자열 기초 문자열 선언과 초기화 선언 : 문자 배열의 크기는 저장할 문자 수 +1 크기로 지정 초기화 : " " 문자를 대입연산자에 이용 문자열 표준 입력 scanf() 입력된 문자열을 str 배열에 저장 공백 또는 enter 전까지 입력된 문자열을 저장 함수 형식 :int scanf("%s", str); gets() 공백을 포함한 문자열 입력 char* gets(char* str); enter를 'W0'으로 변환하여 저장 문자열 표준 출력 printf 형식 문자열 "%s"를 이용 char a[]="hello"; printf("%s", a); 문자 배열명을 prin.. 배열 배열 정의 동일한 이름으로 참조되는 연속된 메모리에 할당된 자료 구조 같은 데이터 타입을 묶어서 하나의 공간처럼 사용할 수 있는 자료 구조 관련 있는 데이터를 묶어서 처리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한 자료 구조 효과 많은 수의 변수 이름을 생성할 필요가 없음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므로 반복문으로 구현하기가 용이함 용어 요소(Elements): 배열을 구성하는 각 항목 배열(Array)명 : 전체 공간에 대한 대표 이름(변수명) 크기 : 배열요소의 개수 첨자(Index) : 각 요소에 부여되는 위치 정보 ex)아파트 : 배열구조로 이루어짐 선언 데이터 타입 배열명 [크기]; 배열크기 : 양의 정수, 매크로 상수, 관련 연산식으로 지정변수, const 상수는 불가 참조 각 요소에 대한 참조는 index를 이용 0.. 이전 1 2 3 4 5 6 다음 목록 더보기